• 5월 산업생산 3개월 만에 반등…반도체·자동차가 성장 견인
    • 광공업 3.2%↑, 서비스업 0.5%↑…설비투자·소비는 모두 하락세
    • 2025년 5월 산업생산이 반도체와 자동차 산업의 호조에 힘입어 전월 대비 0.8% 증가하며 3개월 만에 반등했다. 다만, 소비와 설비투자는 각각 1.0%, 3.2% 감소하며 내수 부문은 여전히 위축된 흐름을 보였다.

       참고 이미지 AI 생성후가공 제작문서준기자
      ▲ 참고 이미지 (AI 생성/후가공, 제작=문서준기자)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5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광공업 생산은 반도체(8.5%), 자동차(6.3%) 등 주요 수출 품목 중심으로 전월 대비 3.2% 증가하며 제조업 회복 흐름을 이끌었다. 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74.3%로 전월보다 2.2%포인트 상승했다.

      서비스업 생산도 0.5% 증가했다. 운수·창고(4.0%)와 숙박·음식점업(2.1%)이 증가세를 주도했으며, 도소매업은 0.8% 감소했다. 이는 코로나19 이후 회복세를 이어가던 민간소비가 고금리 및 물가 부담에 제동이 걸린 것으로 분석된다.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는 음식료품(–2.2%), 의복(–5.5%) 등 소비재 대부분이 부진하며 전월 대비 1.0% 감소했다. 내구재·준내구재·비내구재가 모두 감소해 전체적인 민간소비 심리가 위축된 것으로 해석된다.

      설비투자 역시 운송장비(–11.4%)와 기계류(–0.5%)의 부진으로 전월 대비 3.2% 줄었으며, 건설기성은 토목공사 증가에도 불구하고 건축공사 감소로 인해 1.3% 하락했다.

      현재 경기를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과 같은 100.4로 보합을 유지했으며,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0.1포인트 상승한 100.5로 소폭 개선됐다. 이는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제조업 회복 기대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정부는 이번 산업생산 반등에도 불구하고 내수 회복 지연과 대외 불확실성 지속을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지목하며, 경기 보강을 위한 정책 대응을 지속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 AI 사용·편집·가공 포함
    Copyrights ⓒ 아시아연합뉴스 & www.asia-news.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확대 l 축소 l 기사목록 l 프린트 l 스크랩하기
아시아연합뉴스로고

대표자명: 문서준 | 상호: 주식회사 아시아연합뉴스
주소: (063-14) 서울특별시 서초구 효령로31길 28, 3층190
신문등록번호: 서울,아55716 | 신문등록일자: '24.11.26 | 발행인 / 편집인: 문서준 | 청소년보호책임자: 문서준
전화번호: 0507-1480-2997 | Fax번호: 0504-288-3997 | 이메일: asianews@asia-news.kr
메타(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korea.asia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