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기 좋은 스마트도시, ‘디지털 행복도시’의 어두운 이면...디지털 소외 계층의 행복은?
    • 행복도시‧세종시 '스마트도시계획'으로 디지털 행정수도 완성, 행복도시 스마트도시계획 확정됐지만, 시민 체감도와 디지털 접근성의 불균형 지적
    • 행정중심복합도시와 세종시를 통합한 ‘스마트도시계획(2025~2029년)’이 국토교통부 승인을 받아 본격 시행된다. 행복청과 세종시는 이 계획을 통해 ‘시민이 행복한 미래전략수도 스마트 세종’을 구현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자율주행, AI기반 도시운영, 초정밀 정보서비스 등 총 21가지 특화된 스마트 서비스가 국가시범도시와 함께 도입될 예정이다.

       AI 생성후가공 참고 연상 이미지 실제와 다름
      ▲ AI 생성/후가공 참고 연상 이미지 (실제와 다름)

      그러나 ‘행복’이라는 단어가 머쓱해지는 현실도 함께 존재한다. 급격한 기술 도입과 고도화된 디지털 시스템 구축은 오히려 일부 시민들에게는 소외와 불편을 의미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디지털 기기 활용이 익숙하지 않은 중장년층과 고령자들에게는 정보 접근권의 박탈이자 일상생활의 장애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스마트기술이 낳은 또 다른 불행, 디지털 복지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디지털 장애인에 대책은 찾아 보기 힘든 실정이다. 스마트행정으로 오히려 더 복잡해진 각종 온라인 절차와 인증 등이 그 예이다, 스마트, 디지털 기반 서비스 등이 확대되면서, 단순한 디지털 기기 활용조차 어려운 시민들은 행정과 일상에서 점점 더 소외되어 가고, 그들의 불편함을 거들어 주는 아날로그 행정은 점점 더 찾아 보기 힘들어져 가고 있다.

      행복청은 “최고 수준의 스마트기술을 시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지만, 그 ‘시민’의 범주에 디지털 취약계층이 실질적으로 포함되는지는 여전히 의문이다. 기술은 진보하지만 시민의 발걸음은 제자리에 머무는, 디지털 양극화의 현상은 더욱 커져 가고 있다. 

      각 정부 부처들이 하루가 멀다하고 앞다퉈 스마트·디지털·AI를 탑재한 보도자료를 내고 있지만, 디지털 소외계층의 불편을 해소하는 정책 발표는 찾아 보기 힘들다.

      전문가들은 진정한 스마트도시는 기술의 고도화보다 디지털 포용성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스마트도시가 도시 전체를 위한 공공의 진보라면, 가장 뒤처진 이들을 위한 디지털 교육과 맞춤형 서비스 확대 없이는 시민 누구도 ‘행복한 스마트 세종’을 체감할 수 없다는 주장이다.

      “스마트도시는 결코 기술 전시장이 아니다. 시민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초점을 둬야 한다.” 디지털 복지의 관점에서, 이제는 기술 중심에서 사람 중심으로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 AI 사용·편집·가공 포함
    Copyrights ⓒ 아시아연합뉴스 & www.asia-news.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확대 l 축소 l 기사목록 l 프린트 l 스크랩하기
아시아연합뉴스로고

대표자명: 문서준 | 상호: 주식회사 아시아연합뉴스
주소: (063-14) 서울특별시 서초구 효령로31길 28, 3층190
신문등록번호: 서울,아55716 | 신문등록일자: '24.11.26 | 발행인 / 편집인: 문서준 | 청소년보호책임자: 문서준
전화번호: 0507-1480-2997 | Fax번호: 0504-288-3997 | 이메일: asianews@asia-news.kr
메타(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korea.asianews